1) 기독교 교육 Christian Education


(1) 관계 중심 학급 운영

  • ● 사람은 누구나 관계를 통해서 성장하고 관계 속에서 살아갑니다.
  • ● 한 명의 담임교사와 20명의 학생으로 이루어진 작은 학급에서 말씀과 삶을 나누며, 함께 고민하고, 미래를 향해 걸어갑니다.
  • ●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함께 모여서 진로, 생활, 신앙 등 날마다 삶을 함께 나누면서 협업, 공감, 소통을 배우고 성장하는 공동체를 이룹니다.

(2) 하나님의 나라를 이 곳에, 말씀 묵상과 예배

  • ● 스스로 말씀을 보고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은 건강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길입니다. 매일 아침 등교하여 <매일 성경>으로 묵상하고 적용하면서 말씀 안에서 자라갑니다.
  • ● 매주 목요일, 정기적으로 드리는 예배가 있습니다. 단순히 회중 예배에 수동적으로 참석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모두가 예배의 구성원이 되어 참여하면서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이 삶의 중심이 되도록 합니다.

(3) 책임 있는 그리스도인, 봉사와 선교

  • ● 봉사활동: 학생 시절 다양한 봉사와 섬김의 경험은 평생의 삶을 좌우할 수 있을만큼 중요한 것입니다. 개인/그룹 프로젝트와 연결하여 지역 사회 봉사와 선교적 기회를 자주 경험하며, 세상 속의 책임있는 그리스도인이 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2) 창의성 교육 Creative Education


(1) 진리와 가치를 꿰뚫어 배우는 '주제통합 수업'

  • ● 과목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분절된 학습을 하고 진학을 위한 지식을 주입하는 대신, 교과의 경계를 뛰어 넘어 공부하고 상상하고 실천하는 새로운 교육으로 나아갑니다. ‘창조’, ‘진리’, ‘우상’, ‘회복’과 같은 깊은 통찰이 필요한 주제에 대해서 과목을 넘나들며 함께 공부할 것입니다. 연결된 지식을 공부하고, 통합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면서 살아있는 배움이 일어납니다.
  • ● 깊이 있는 독서와 토론을 바탕으로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훈련하며, 팀과 함께 서로 협력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 ● 교사는 교육 목표에 맞는 수업의 구조와 컨텐츠를 제공하며, 학생들이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코치가 됩니다.

(2) 책 속에서 길을 찾다, '독서 기반 수업'

  • ● 책을 매개로 하여 학생들이 사고의 깊이를 더하고 학문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적이고 성찰적인 학습은 우리 학교 교육활동의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정해진 교과서의 틀을 벗어나 책의 숲 속에서 스스로 지혜를 탐닉할 때, 진정한 배움이 일어납니다.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읽은 책들이 늘어갈 때, 배움의 한계는 날로 확장됩니다.
  • ● 단순히 텍스트를 읽는 데 그치지 않고, 책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며, 나아가 창의적이고 실천적인 사고를 발휘하도록 돕습니다.
  • ● 학생들은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글쓰기, 토론,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합니다. 책 속의 아이디어를 실제 문제 상황에 적용하거나, 다른 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통찰을 발견합니다. 언어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르고,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합니다.

(3) 다양한 선택 교과 운영

  • ● 학생들의 진로 희망에 따라 다양한 교과를 선택하여 커리큘럼을 직접 구성합니다.
  • ● 자신의 은사를 개발할 수 있는 과목들을 선택하여 공부할 수 있습니다.




3) 협동적 교육 Cooperative Education


(1) 더불어 사는 삶, 장애 통합 교육

  • ●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귀한 자녀들입니다. 우리 학교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비장애 학생들과 함께 한 교실에서 수업에 참여하며 생활하는 통합학급을 운영합니다. 통합학급에서 함께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서로의 지체됨을 깨닫고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웁니다.
  • ● 통합교육지원실에서는 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교수, 지원실캠프, 놀이 프로그램, 일반교사 연수, 부모 연수 등 여러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진행합니다.

(2) 삶의 현장에 직접 들어간다, ‘Externship’

  • ● 온 세상이 우리의 배움터입니다. 배움의 장소를 교실로 한정하지 않습니다.
  • ● 학생들은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서 조사하고, 또 현장에 직접 나가서 체험하고 경험하면서 직업 세계를 직접 삶으로 배웁니다. 이 프로그램은 삶의 현장으로 나간다는 의미로 externship이라고 부릅니다.
  • ● 기독교적 가치로 세상 속에서 빛과 소금으로 살아가는 모델들을 만나고 배우는 것이 인생의 큰 경험이 될 것이고, 대학 진학이라는 목표를 넘어 인생을 배우는 교육 과정입니다.
  • ● Externship으로 연결됨 멘토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구체적이고 살아있는 지식을 배웁니다.
  •  

(3) 도전적 과제를 팀과 함께 수행하는 '프로젝트 수업'

  • ● 팀 프로젝트는 학습자가 함께 지식을 공유하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도 얻고 실제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며, 다양한 협력적 활동으로 결과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입니다.
  • ● 이를 위해 교사는 코치의 역할을 하고, 학습자들은 충분한 시간 동안 주체적으로 친구들과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하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와 탐구력, 실천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